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서울시 인구와 주택

서울시 주택 매매 거래량 특징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1. 1. 20:15
반응형
  1. 서울시 주택거래량은 아파트, 빌라(다세대/연립), 다가구(단독), 오피스텔 유형의 4가지 구분
  2. 서울시 주택 거래량의 정부요인(부동산 부양정책)을 확인하려면, 월별 매매 거래량의 변동을 봐야 한다.
  3. 서울시 주택 매매 거래량은 소비자 동향조사의 "주택가격전망 CSI"결과와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4. 당 거래량 통계는 국토부실거래가 2024년 12월 31일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1. 서울시 주택유형별 매매 거래량과 비율

  • 서울시에서 2024년 연간 거래된 주택 매매 거래량은 91,920건 ( 2024년 12월 말 기준 )
  • 서울시에서 가장 선호되는 매매 주택의 유형은 아파트 57.92%
  • 서울시에서 아파트 다음으로 선호되는 매매 주택의 유형은 빌라(다세대/연립) 주택으로 27.88%
  • 서울시에서 매매 거래량이 가장 적은 주택유형은 다가구(단독) 주택으로 1년간 2906건 ( 3.16% )
계약년월 다가구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202401 180 1,924 2,576 662
202402 164 1,712 2,598 1,012
202403 257 2,335 4,262 1,127
202404 250 2,280 4,462 815
202405 274 2,312 5,097 826
202406 290 2,269 7,607 912
202407 287 2,630 8,874 914
202408 323 2,635 6,297 939
202409 232 2,099 3,053 667
202410 283 2,353 3,631 810
202411 252 1,923 3,149 807
202412 114 1,156 1,637 652
거래량계 2,906 25,628 53,243 10,143
거래비율 3.16% 27.88% 57.92% 11.03%

 

 

2. 서울시 매매 선호 주택유형 1위, 2위의 월별 거래량

  • 기재부와 금융위원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등 전반적인 부동산 PF 시장의 연착륙 과정 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다."이라고 밝힌 것 자체가 부동산 거래량 증가(빚내서 집사라 정책)이었다.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성 제고를 위해서는 부동산 가격의 상승과 차주가 빚내서 집을 살 수 있는 환경적 구성이 매우 절대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 아파트에서 매우 극적인 거래량 증가와 이후 거래량 급감이 있었고, 빌라의 경우엔 아파트보다 적지만 역시 빌라에서도 DSR 2단계 규제 전 대출을 통한 부동산 매매가 증가했다. 

서울시 선호주택 유형 1위 아파트와 2위 빌라(다세대)의 월별 거래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