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택 총거래량과 인구증감 상관관계 ( 인구는 생산연령 인구 : 15세~64세 )
[1] 경기도 구리시 주민등록인구수(통계청 주민등록인구수 2024년 9월)와 국토부실거래 등록정보(2024. 10. 7 기준)를 기준으로 전월 대비 인구의 증감수와 월별 주택(아파트, 빌라, 다가구, 오피스텔)의 매매, 전세, 월세의 거래량을 대비하여 인구의 증감과 주택 거래량의 증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2] 당연하게도 전월 대비 인구가 감소하면 주택의 거래량은 감소했을 것이란 예측과 달리 인구가 감소한 달에도 주택의 거래량이 증가하고, 인구의 감소대비 주택의 거래량이 선제적으로 감소하는 모습도 보인다.
[3] 아래의 그래프는 구리시 주택 총거래량을 기준으로 2019. 1 ~ 2024. 9. 30까지의 주택 거래량이다.
- 주택 거래량은 우선 주택의 유형 전체를 포함한다. ( 주택유형 :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다가구(단독)를 포함한다. )
- 주택 거래량은 매매, 전세, 월세 등 국토부 실거래가 거래정보를 기준으로 한다.
- 인구의 전월대비 생산연령 인구를 기준으로 한다. ( 2019. 1 ~ 2024. 9까지의 15세 ~ 64세의 생산연령 인구를 기준 )
[4]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일정하게 패턴이 보이고 있다. ( 그리고 구리시의 생산연령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
2. 주택 전월세량과 인구증감 상관관계 ( 인구는 생산연령 인구 : 15세~64세 )
[1] 섣부른 판단일 수 있지만, 전월세로 구리시로 유입되는 인구는 1인 가구일 가능성을 높이 본다.
- 실제적으로 해당 연령대의 인구수는 지속적으로 0 이하의 수치다. - 이는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을 뜻한다.
[2] 주택의 전월세 임대량이 늘지만, 인구의 증감에서 증가 숫자는 크지 않다.
3. 구리시 총인구수와 생산연령 인구비율
[1] 구리시의 총인구수 감소도 있지만, 그것보다 더 크게 감소하고 있는 생산연령인구 ( 총인구에서 생산연령인구수가 72% 수준 )
[2] 생산연령인구에서도 15~20세는 주택 거래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므로, 21세~64세의 생산연령까지 따진다면 더욱 줄어드는 비율을 보일 것이다.
[3] 이는 구리시에서 주택 거래에 나설 수 있는 새로운 사람들이 유입되지 않는다면, 현재 연령대의 인구수가 고착화할 가능성 높다. - 너무 비싸서 팔리지 않고, 새로 유입될 사람들의 소득 수준이 획기적 상승이 없다면 역시 매매할 수 없다.
- 그럼 잠시 머물며 살다가는 지역이 된다. ( 그럼 계속 인구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 )
[4] 그 감소하는 인구는 확신하건대, 젊은 층이며 혼인율 높은 연령대의 인구가 빠지게 될 것이다. ( 그럼 영유아 숫자는 지금보다도 더 하락할 것이다. )
'거래량 관련 통계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준공년도-서울 아파트 전용59㎡(국평) 거래량과 평균가격 특징 (8) | 2024.10.15 |
---|---|
경기도 아파트 전용59타입(24평대) 준공 연도별 거래 가격의 특징 (4) | 2024.10.14 |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량과 미등기율 및 계약해지 건수 (0) | 2024.10.07 |
2024년 9월말-서울시 아파트 실거래량 집계(해지,등기완료,미등기 상황) (6) | 2024.10.01 |
2024년8월 전국 전세거래-시,도별 거래량, 주택별 보증금(HUG 대위변제 어려움과 총 전세보증금 사고율 1%) (3)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