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11월 19일 한국은행 "2024년 3/4분기 가계신용(잠정)" 보도자료를 기준으로 현재 가계부채의 상태가 어느 방향으로 흘러가는지를 살펴본다.
- 한국은행이 2024년 11월 19일 발표한 가계신용잔액(잠정) 1913조 원과 e-나라지표의 2/4분기 가계신용 1986조 원의 갭이 너무나 크다. 한데 e나라지표는 한국은행의 "가계신용동향"을 기준으로 통계한 것이라고 한다.
- 가계신용 = 가계부채 + 판매신용잔액이다. ( 엄밀히 판매신용은 가계부채에서 제외된다. )
- 하지만, 가계부채에 부동산 관련 전세 보증금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2024년 9월 통계를 기준으로 전국 전세, 월세 보증금의 추정 총액은 441조원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 가계부채의 주택담보대출에는 전세, 월세 보증금 대출이 포함되어 있지만, 전세금액 전체를 대출해 주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 나머지는 사적 금융으로 세입자의 순자산으로 임대인에 주택의 사용조건으로 대출해 준 것이다.
- 또한 이 통계에서 누락 혹은 빠진 부분은 "상가"와 "사무실"등의 임차보증금이다. 이 부분도 제외되어 있다는 점. (개인)
- 그러므로 넉넉히 한국의 가계부채는 2000조원을 이미 넘었다고 판단한다. ( 그러므로 e-나라지표와 한은의 보도자료상의 가계신용이 틀려도 상관없다. 이미 통계를 넘어선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
1. 공식 보도자료 기준
- 2024년 3/4분기말 가계신용 잔액은 1,913.8조원
- 전분기말 대비 18조 원 증가 = 가계대출 16조 원 + 판매신용 잔액 2조 원 증가
- 공식 보도자료이며, 잠정이므로 이후 조정을 거쳐 확정될 것이다.

2. 지표서비스-e나라지표-가계신용 동향
- 2024년 2/4분기말 가계신용동향에서는 1,986.2조 원 ( 아마도 보험사 약관대출이 포함된 게 아닐지 )
- 정부 통계이며, 한국은행 가계신용을 참고하는 통계표인데, 2024년 2/4분기에 이미 1,986조 원을 넘었다.
- 이와 달리 한국은행의 가계신용 잔액은 3/4분기 1,913조 원이다. ( 같은 가계신용이고 한은의 가계신용동향을 출처로 한 자료)
- 한국은행이 가계신용 통계에서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기 위해서 보험사의 약관대출을 빼기 전 통계로 보이는 총 가계부채 잔액이 그대로 표시되어 있다. ( 보험사 IFRS17 도입에 따름 )
- 문제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기간에 대한 GDP통계에 대해서 대체 연도를 선택하길 권고한 IMF의 권고도 무시한 기준연도의 기계적 2020년 선택으로 GNI와 GDP의 상승을 만들고 GDP대비 가계부채비율을 100% 선에 맞추는 선택까지 있었다.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경제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대출 연체율, 가계신용 총액증감과 한국 2024년 경제성장률 1.8% (2) | 2024.11.20 |
---|---|
한국 가계부채 분기별 현황과 가계의 실질 부채 2000조원 이상-2 (0) | 2024.11.20 |
두바이유(유가), 달러원 환율, 소비자물가상승률 (2024년11월12일 지표) (2) | 2024.11.12 |
2025년 부동산 가격상승이 어렵다고 보는 이유 (0) | 2024.11.11 |
금융채(은행채 5년물) 시가평가수익율 현황과 부동산 거래량-1 (4)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