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통계자료 설명 77

전국 2023년 7월 아파트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

2023년 7월 전국아파트 거래현황에서 2개월 연속으로 등기신청건이 급감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습니다. 1. 2023년 6월 아파트거래량, 해지, 등기신청건 (전월) 2. 2023년 7월 아파트거래량, 해지, 등기신청건 (당월) - 진행 중전국적으로 전월 대비 12.1%거래량 감소함. 서울시의 평균 평당가격은 전월대비 1.9% 하락. 경기도 2.4% 하락 세종시 전월 대비 거래량 급감. 경기도 12.5% 거래량급감. 8월 중순임에도 등기가 진행하는 것인지는 의문임. ( 8월에 등기 치는데, 7월에 집계된다는 얘기인건지 모르겠음. ) - 만일 8월달 등기치는데, 그걸 역산해서 7월 등기로 한다는 건 말이 안 되는데, 그렇게 되면, 7월 등기신청량은 2023년 최하의 등기량임. 사두고 등기를 안친다는 것도 이..

전국 2023년 6월 아파트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

2023년 6월 전국 아파트거래량, 계약해지, 등기신청건을 브리핑합니다. 2023년 6월 아파트거래에서 등기신청건이 급감했음. 1. 2023년 5월 아파트거래량, 해지, 등기신청건 (전월) 2. 2023년 6월 아파트거래량, 해지, 등기신청건 (당월)전월 대비 서울시의 거래량이 12%증가하고, 평당 평균가격은 1.8% 상승. 전월 대비 광주시의 거래량이 8%증가하고, 평당가격도 6.5% 상승. 전국적으로 전월대비 평당가격 평균은 2.9% 상승함. 전국적으로 실거래량이 전월대비 4.1% 감소하며, 평당 가격은 2.9% 상승함. 비싸지기 시작하며, 거래량이 감소하는 것인지... 월단위 통계는 전월대비로 확인하기에 추세를 알기 어려운 단점. 실거래신고는 증가했으나, 등기신청은 감소하며, 누적된 미등기잔량이 전..

전국 2023년 5월 아파트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

2023년 5월 아파트 거래량, 계약해지, 등기신청건을 전월대비로 비교합니다. 1. 2023년 4월 아파트거래, 해지, 등기건 (전월) 2. 2023년 5월 아파트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 (당월)전월 대비하여 전국적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월 대비하여 평균 평당가격이 제주도의 경우 11.2% 상승, 경기도 5.8%, 서울 4.6% 상승하였습니다. 전월 대비 세종시 10.5% 거래감소 및 평당가격 4.2% 하락 전월 대비 부산시 7% 거래감소, 평당가격 0.9% 하락 이외 충남 8.2% 거래량 감소, 평당가격 4.8% 상승

전국아파트 2023년 4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

2023년 4월 전국아파트 실거래량, 계약해진, 등기신청건수의 변동사항을 브리핑해드립니다 1. 2023년 3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전월) 2. 2023년 4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당월) 전국적인 거래량 감소했으나, "서울", "대전", "광주", "경북"은 소폭 거래상승. 전국적으로 거래량 감소했으나, 평당 가격은 1.4% 상승함. ( 서울의 가격대가 전국을 상승시킴 ) 평당 가격은 전국적으로 두 곳을 제외하고 상승. 충청북도와 울산시의 경우 4월 거래량 감소 및 평당 가격 감소,

전국아파트 2023년 3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

전국의 아파트 실거래 데이터 2월과 3월 비교 종합 브리핑. 3월은 전국 아파트 가격의 평당 가격이 2.4% 하락. 1. 2023년 2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전월) 2. 2023년 3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당월) 2월에 비해서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모습. 단, 세종시는 전월에 비하여 소폭 감소했다. 3월에 다다러 전국적인 미등기 잔량은 1만 건에 근접하였다. 거래량은 전월에 비하여 증가했지만, 아파트 평당평균가격은 전월에 비하여 2.4% 하락했다. 특이한 것은 울산시의 경우, 월간 실거래가격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거래량도 증가하고, 평당가격도 0.9% 상승하였다.

전국 아파트 거래량 2월 (1월 실거래, 계약해지, 등기신청건포함)

전국의 아파트 2023년 2월 실거래 데이터를 종합하여 브리핑합니다. 기준시점은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월단위 비교합니다. 1. 시점과 기준 ( 2023년 1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 - 기준시점) 매월 발표완료된 자료를 기준으로 거래량 변동과 평당 가격(가격의 변동)을 전월과 비교합니다. 통계자료의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여, 각 항목별 설명을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1) 계약해지량(건) : 해당월에 등록된 계약해지건을 집계하여 표시합니다. 2) 등기신청(건) : 해당월에 신청된 등기건을 집계하여 표시합니다. 3) 당월누적 미등기신청량(이후 누계잔량) : 1월에는 기준월이라 없고, 2월부터 시작합니다. - 2월부터는 당월 실거래량(건) + 전월 등기잔량(이월) - 등기천청건(당월) = 누계 미등기신철량..

서울, 경기, 인천 실거래량 표시방식 변경 ( 차트 + 표 )

구 분 총 실거래건수 계약해지건수 잔여실거래건 등기신청건 미등기잔량 등기 진도율 1월 1,365 46 1,319 166 1,153 12.59% 2월 2,306 78 2,228 661 2,720 24.30% 3월 2,576 123 2,453 1,215 3,958 30.70% 4월 2,349 87 2,262 1,643 4,577 35.90% 5월 2,601 121 2,480 2,147 4,910 43.73% 6월 2,332 91 2,241 2,054 5,097 40.30% 7월 1,615 123 1,492 2,266 4,323 52.42% 8월 33 7 26 3 4,346 0.07% 소계 15,177 676 14,501 10,155 상기 표는 인천시의 국토부 실거래 자료를 기준으로 정리한 2023년 실거래 ..

기준 중위소득 - PIR 근거자료

1. 기준 중위소득 보건복지부장관이 기초생활보장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 2. 기준 중위소득 결정의 의의 기존 수급자 선정 및 급여 기준으로 활용된 "최저생계비"를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으로 개편 후 상대적 빈곤 개념 도입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기준 중위소득 고시("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1호) 기준 중위소득은 통계청 통계자료의 가구 경상소득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등을 반영하여 산정(법 제6조의 2 제 1항 ) 3. 기준 중위소득 결정방식 3 -1. 통계자료 농어가를 포함한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구소득 통계 중 조사의 대표성, 과거 자료활용 가능성('06년..

새로운차트 - 지역내 총 실거래량, 지역내 실거래가 평균

1. "동" 단위의 소규모 지역의 실거래량 합계 자가 주택 마련을 위하여 "서울", "경기도"라는 거대 규모의 단위로 알아보는 것이 아닌, 자신이 살고 있고 살기에 편리하다고 생각될 수 있는 동네 단위로 실거래량의 추이를 분석합니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부동산 정보와 각 언론이 말하는 매크로한 부동산의 추이가 아닌, 각자가 살고 있는 지역으로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실거래가 정보를 기준으로 동네를 정하고 해당동네의 추이를 분석합니다. 해당 동네의 최근 거래량의 변동을 통하여 얼마나 자주 거래되고 그 규모는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바(BAR)차트"로 정보를 표시하고, 기간별 거래량을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다만,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상으로 계약해지된 것을..

새로운차트 - 연도별 전세가와 거래량

1. 단지별 전세가격대와 전세 거래량을 표시. - 중위가격선 범위 표시로 실 거래량 추이를 알아보기 어려웠으므로, 개선하여 주 계약되는 전세가격 표시 - 적정한 전세가격인지 확인해야 하나, 국토부의 실거래 자료를 100% 신뢰하는 것은 위험해 보임. ( 월세로 보이는 보증금이 전세로 표시되는게 거의 확실해 보이나, 국토부는 집계만 한다고 하니 방법없음 ) - 그냥 대략적인 가격대와 거래량 참고자료. ( 가격은 확실하나, 월세같은 전세인지가 의심될 뿐. ) 2. 분석 대상 전용면적과 유사평형의 주위 전세가격 및 거래량 비교 - 단지별 전세가격의 비교를 통하여 보다 저렴한 전세 가격을 검토할 수 있음. ( 주변부에 거래가 있다면 표시됨 ) - 원하는 지역 주변의 전세 예산에 맞춰 실거래 등록된 전세가격을 확..

새로운차트 - "같은" 동네, "유사" 평형의 가격을 비교합니다.

1) 박스플롯(BOX Plot) - 박스는 뭐 박스죠. 사각형 안의 가격대가 전체 거래가격대의 50% 선입니다. 그리고 위로 뻣은 선과 아래로 뻣은 선은 상위 25%, 하위 25%를 말합니다. 즉 가격대를 알 수 있다는 말입니다만, 다만 어느정도의 거래량으로 그 가격대가 성립하는지 알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을 표시하고자 개선했습니다. 2) 스웜플롯(Swram Plot) - 무슨 무슨 "떼" ( 예를 들어서, [벌레 "떼"] ) 이제 박스 플롯의 가격대에 어느정도의 거래량으로 형성되었는지, 붉은 색 점으로 표시합니다. 거래량이 많은 곳의 경우에는 점이 지저분하지만, 가격대에 몰린 "떼"가 보입니다. 분석 단지, 평수에 대하여 같은 "읍, 면, 동"을 기준으로 차트에 비교합니다. 같은 평이라도 위치..

새로운 차트 - 실거래 매매가 / 전세가 비교

매매가와 전세가를 직접 비교하여 역전세, 깡통전세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트에 2가지를 동시에 표시합니다. 위의 차트는 21년도 말 전세 계약된 6억의 전세계약건이 2023년 말에는 깡통전세가 될 여지가 있습니다.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매매가가 그 이상으로 실거래 되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다행히(?) 23년도 실거래가가 최근 6억을 간신히 넘어서 계약이 되었기에 조금 더 두고봐야 할 부분이긴 합니다. 전세는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서 보증금(만원)을 이용해 차트에 표시됩니다. 여긴 아직 분석해 보지 않았으나, 동일평형에 선호하는 동호수, 층, 수리여부에 따라서 전세가격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2023년초반까지 5억이 넘는 전세가가 있었으나, 중분부부터 견고한 전세가인 3억~4억 사이에 거래가..

새로운 지표 - 월 거주비

(샘플) 서울마포공덕 - 공덕삼성래미안2차 (월 거주비용) 월거주비 = 실거래가 * 실거래당시 회사채(3년)평균 금리 / 12개월 ( 회사채(3년) 평균금리 사용 - 시중 예금금리 데이터가 없어서... ) 2023년 6월 27일 기준 24개월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3.71% ( 시중 5대 은행 중 -> IBK ) 월거주비는 실거래가를 금융투자시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을 12개월로 나눠, 매월 기대이익이다. 단순 계산할 수 없으나, 실거래가격을 기준으로 다음 거래까지의 기간을 곱하면 기대이익이 나오고, 실거래를 통하여 얻은 양도차익 - 기대이익 = 실현이익이 된다. 현금화 할 수 없다면 실현이익은 없지만, 거래만 된다면 기대이익이 될 수 있다. 1. 아래의 도표는 실거래가 시스템상의 실거래 가격의 변동을 ..

국토부실거래가 시스템, 거짓 혹은 조작된 통계인가?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란 곳이 있다. 이곳의 실거래가 자료제공을 통해서 내려받은 자료들을 이용해서 통계를 작성을 하고 있다. 무릇 통계란 것이 원시데이터(Source Data)가 매우 중요하다. 그 통계를 이용해서 여러가지 자료들을 만들어 볼 수 있으며, 가공을 통해서 새로운 지적인 호기심이 충족되기도 하기에 시작한 일이었는데, 너무나 순진했다.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의 신뢰성이 바로 그 문제의 시작이자 끝이었기 때문이다. 매매/전세의 경우는 맞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통계를 봐야하며, 월세의 경우는 당연히 틀리겠구나... 하는 마음으로 봐야한다. 예를 들어서, 마포구 공덕동 래미안1차의 월세통계를 보며, 이런 쓰레기 통계자료를 왜 집계하는지 이유를 알기 어려웠다. 실거래 신고된 월세의 보증금이 ..

박스플롯 - 기초통계 설명서

층별, 거래금액을 표기하고 그래프로 표시. 거래금액의 폭이 넓고, 중앙값이 가운데 예쁘게 자리할 수록 가격안정성, 거래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지역, 거래단지, 가격폭이 급변하는 지역을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1) 실거래 통계정보의 기간에 따라서 내려갈 수도,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2) 중앙값은 그간의 거래된 실거래가에서 금액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가격을 말합니다. (엑셀의 MEDIAN함수로 확인될 수 있습니다. ) 3) 박스플롯함수가 하는 일이므로 가격폭 및 중앙값은 일일이 확인하지 않는 한, 검토가 어렵기에 대략적인 차트의 의미를 보시라고 설명을 남겨드립니다. 4) 정확한 박스플롯의 의미는 검색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만 중앙값과 1사분위, 3사분위의 값은 현재까지의 실거래된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 - 기초통계 설명

출 처 : 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 통계표명 : 기준 중위소득 단 위 : 원 / 월 출 처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가계금융복지조사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1인가구 1,624,831 1,652,931 1,672,105 1,707,008 1,757,194 1,827,831 1,944,812 2,077,892 2인가구 2,766,603 2,814,449 2,847,097 2,906,528 2,991,980 3,088,079 3,260,085 3,456,155 3인가구 3,579,019 3,640,915 3,683,150 3,760,032 3,870,577 3,983,950 4,194,701 4,434,816 4인가구 4,391..

부동산 마이크로 데이터를 만드는 이유

1. 가구중위소득 자료출처 :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2 국가지표체계 | 지표상세정보 가구중위소득 0 최근갱신일 : 2022-12-02 (입력 예정일 : 2023-12-29) 가구 균등화 중위소득임. 통계청「가계금융복지조사」 표본가구(전국, 1인 이상)의 처분가능소득으로 산출함. 가구중위소득은 가 www.index.go.kr [단위 : 만원]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가구중위소득(명목) 2,549 2,649 2,756 2,875 2,998 3,174 가구중위소득(실질) 2,661 2,713 2,781 2,890 2,998 3,097 1) 처분가능소득의 점검과 도식화 각 단지, 전용평형, 시기별로 집값과 소득대..

반응형